언론자료
자료실
이불, 배영환, 김성환, 타렉 아투이 등 9명 작가 참여
구 국군광주병원, ACC 문화창조원 복합 5관, 광주문화재단
2018년 제12회 광주비엔날레에서 첫선을 보인 광주비엔날레커미션(이하 ‘GB커미션’)이 제13회 광주비엔날레 기간인 4월 1일부터 5월 9일까지 더욱 확장되어 선보여진다.
(재)광주비엔날레는 2018년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비평적인 질문과 비엔날레를 통한 지속가능성을 실험하기 위해 GB커미션을 시도했으며 이후 2020년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하여 기획한 특별전 《MaytoDay》(메이투데이)와 연계한 2020년 GB커미션을 추진해 반향을 얻은 바 있다.
2021년 GB커미션에는 이불, 배영환, 김성환, 타렉 아투이(Tarek Atoui)가 새롭게 참여하며 2020년 시오타 치하루(Chiharu Shiota), 호 추 니엔(Ho Tzu Nyen), 임민욱을 비롯해서 2018년 마이크 넬슨(Mike Nelson)과 카데르 아티아(Kader Attia)까지 9명 작가의 작품이 광주정신을 더욱 다층위적으로 맥락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8년 태동한 광주비엔날레커미션을 통해 광주라는 도시에 기반한 미학적·이념적 가치를 예술의 언어로 다루면서 광주를 더욱 다층적인 문화예술 현장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2021년 GB커미션은 5·18사적지인 구 국군광주병원을 비롯해서 시민 사회의 중심이자 역사와 삶이 공존하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문화재단에서 개최된다.
■ 구 국군광주병원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현장으로 계엄사에 연행돼 심문하는 과정에서 고문과 폭행으로 부상당한 시민들이 치료를 받았던 장소인 구 국군광주병원은 2018년부터 광주정신을 담은 작품이 지속가능하게 확장되며 동시대 담론을 형성하는 플랫폼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불 작가는 공간이 조각난 거울에 의해 쪼개져 재구성된 모습으로 보이는 <태양의 도시> 시리즈와(2015/2021) DMZ의 Guard Post (GP)가 2018년 폭파된 후 남겨진 철재로 만든 <오바드 V>(2019)를 선보인다.
배영환 작가는 5·18민주화운동 중에 사망한 故 윤상원 열사와 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故 박기순 열사의 영혼결혼식을 위해 만들어진 노래인 「임을 위한 행진곡」을 차용한 작품을 제작한다. 옛 전남도청 인근 금남로에서 가져온 도로 블록에 ‘임을 위한 행진곡’ 가사를 새긴 배영환의 <유행가: 임을 위한 행진곡> (1997~2021)도 만날 수 있다.
지난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기념관에서 전시되었던 임민욱 작가의 <채의진과 천 개의 지팡이>(2014~2020)는 한국 전쟁 발발 직전 비무장 시민을 대상으로 자행된 민간인 학살의 생존자이자 한평생 국가폭력에 의한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운동에 앞장섰던 故 채의진 작가의 지팡이들로 이루어졌으며, 구 국군광주병원 본관 내 작은 성당에 짙게 배인 시간의 흔적과 공명하는 시오타 치하루의 장소 특정적 설치 작품 <신의 언어>(2020)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2018년부터 선보였던 트라우마를 대하는 문화적 차이와 ‘치유’의 개념을 다룬 카데르 아티아의 3채널 영상작품 <이동하는 경계들>(2018)과 구 국군광주병원에 남겨진 거울로 교회(국광교회)라는 공간 그 자체와 그 의미를 재해석한 마이클 넬슨의 장소 특정적 설치작품 <거울의 울림(장소의 맹점, 다른 이를 위한 표식)>(2018) 등을 다시 한번 만날 수 있다.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복합5관
김성환 작가는 20세기 초 구 조선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자의 역사를 조명하며 더 많은 사회적 논제들과의 연결점을 이어가는 싱글채널 영상작품 <머리는 머리의 부분>(2021)을 선보인다. 작품의 주요 줄기를 이루는 스토리 중 하나는 이민자 역사를 다루면서 광주의 5·18민주화운동과 하와이를 연결하고 있다.
호 추 니엔의 2채널 영상작품 <49번째 괘>(2020)는 20세기 한국사 전반에서 거듭 발생한 수많은 항쟁을 비롯하여 광주에서 일어난 5·18민주화운동의 의미를 새롭게 고찰한다.
■ 광주문화재단
사운드 아트의 잠재력을 전방위로 탐구한 타렉 아투이는 한국 음악 전통과 그 속에 담긴 철학적 사상이 단초가 된 신작 <엘레멘탈 세트>(2021~)를 선보인다. 2019년 광주 방문 이후 전통악기, 옹기, 청자, 한지 등 한국의 전통적 미학과 공존하는 광주비엔날레커미션 작품을 고안하였다. 이 작업은 두 편으로 나뉘어 각각 2021년과 2022년에 공개된다. 그중 올해 선보여질 첫 편은 전시장 내 ‘작업실’ 형태로 꾸며진 설치 작업과 음악가들이 초청되어 공간에 정주하며 발전시킨 공연으로 구성된다.
한편 (재)광주비엔날레는 코로나19 확산을 예방하는 정부지침에 따라 GB커미션은 전시와 연계 공연 모두 사전 예약제와 시간제로 운영할 방침이며, 당일 방문을 통한 현장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된다. 구 국군광주병원은 오후 2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광주문화재단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