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광주비엔날레
D-
제목2014광주비엔날레 '터전을 불태우라' 참여 작가 및 주요 작품 발표-3
   

한국의 역사와 정체성 말한다

전위적·사회참여적 다양한 장르 작가군

광주지역 3명 작가 2개 공연 단체 참여

 

올해 2014광주비엔날레에 참여한 한국 작가는 22명(협업 2팀 제외)으로 2012광주비엔날레와 비슷한 수준(한국작가 21명)이지만 퍼포먼스, 무용가 등 다양한 매체의 사회참여적인 예술가들이 대거 포진한 점이 특징이다.

2014광주비엔날레에서는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한국 작가들이 등장해 도시 재개발, 독재, 노동 등의 사회 비판적인 관점에서 주제 ‘터전을 불태우라’를 구현한다.

 

● 끝나지 않은 독재와 국가 폭력

1970년대부터 줄곧 개념적인 작품과 전위적인 행위 예술을 선보여온 성능경 작가는 이번 전시 주제에 맞게 주류 세력과 권력 체계를 비판하는 사진물 ‘특정인과 관련 없음’을 출품한다. 신문의 편집자적 권력에 대항하고자 신문에 실린 사람들의 얼굴에서 눈을 가리는 작업이다. 신문에 실린 인물들은 신문 기사 내용에 따라 독자들에게 판단되고, 그것은 신문을 편집하는 편집자의 권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에 반발하는 내용으로 해석된다.

‘민중 사진계 거목’ 김영수 사진작가는 독재 시대 고문당하는 사진을 출품한다. 부산 출신으로 대학을 중퇴하고 독학으로 사진을 배운 김영수 작가는 1980~90년대 민중의 삶과 민주화 운동 현장을 앵글에 담아오면서 사회성 짙은 작품 세계를 추구해왔다. 올해 출품되는 ‘고문’ 시리즈는 군사 독재 시절 잔인하게 고문당한 수많은 희생자들의 모습을 고발한 작가의 작품 중 하나로 1980년대 모진 고문을 받았던 작가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70대 사진작가로 아날로그 은염방식의 사진 작업을 하는 김복만 작가는 ‘묵언’ 사진 작품을 발표한다. 1980년대 대학가에서 일어났던 격렬한 학생운동을 목격하고 그들을 도울 수 없었던 무력함에 시달렸던 작가는 마치 학생의 모습을 상징하는 듯한 교내 캠퍼스 곳곳의 깨진 조각상 등을 풍경 작업에 담기 시작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흙 속에 파묻히거나 비닐에 싸여 널브러진 조각상을 통해 망각되고 있는 역사적 사건들을 다시 불러온다.

 

 

● 삶에서 길어 올린 밑바닥 노동자의 현실

1980년대 민중미술 걸개그림을 그렸던 여성미술 연구회인 그림패 ‘둥지’도 10여 점의 걸개그림 연작 ‘엄마 노동자’를 선보인다. 1980년대 미국인 출자회사인 한국 피코 측의 부당 철수와 월급 미지급에 맞선 20일 간의 장기 농성을 담고 있는 연작 ‘엄마 노동자’는 실제로 1989년 노동자 대회에 전시되었다. 이번 비엔날레에서 전시되는 ‘엄마 노동자’는 생계비를 벌기 위해 직업 전선에 나온 기혼 여성들이 열악한 노동 현장에서 성차별, 저임금, 노동 환경의 개선을 요구하며 노조를 만들고 그 과정에서 진정한 노동자로 변화·발전하여 노동권 쟁취의 주체로 일어서는 과정을 만날 수 있다.

보성 출신으로 1980년 가난한 노동자들의 현실에 주목해 강원도 탄광촌에 정착, 광부가 되어 탄광촌의 삶과 풍경을 화폭에 담아냈던 황재형 작가의 작품도 만나볼 수 있다.

 

● 가부장제 여성 정체성에 대한 논의

한국 페미니즘 미술의 대모 윤석남 작가는 ‘무용가 최승희’라는 타이틀의 설치 작품을 소개한다. 신여성으로 대표되는 한국 1세대 근대 무용가 최승희의 삶을 좇아가며, 그녀가 당시 여성으로서 처할 수밖에 없었던 사회·정치적 현실과 어려움을 대변함과 동시에 그 안에서 꿋꿋이 자신의 길을 걸었던 당당하고 멋진 신여성의 모습을 표현한다.

이불 작가는 퍼포먼스 기록 영상과 조각 2점을 출품한다. 여성 신체의 사회적 구조와 육체 자체의 한계에 초점을 맞추면서 가부장적 성격이 강한 한국 사회가 여성에게 부여한 편견과 억압을 고발한다.

 

● 전위적·다양한 장르 신진 작가 대거 포진

프랑스 현대미술 대표적 작가 크리스티앙 볼탄스키의 제자로 2005년 에르메스 미술상을 수상했던 구정아 작가, 현대인의 무기력, 불안 등을 극사실 인체 조각으로 표현하는 최수앙 작가, 리움 미술관이 개관 10주년 기념 첫 전시로 젊은 작가들을 조명하는 ‘아트 스펙트럼 2014’전 등에 참여하면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이완 작가, 2013테이트모던 더 탱크 커미션 김성환 작가 등 신진 세력들의 참여도 눈길을 끈다.

파리와 서울을 주 무대로 활동해온 이슬기 작가는 현대 사회의 정치·사회·경제·문화적 상태를 담은 밝은 색상 6개의 한국 전통 누빔 천을 활용한 설치

 

 

작품을 출품했다.

이외에 홍영인, 정금형, 임민욱, 옥인 콜렉티브 등의 작가들은 전위적이고 파격적인 퍼포먼스를 펼쳐내며, 철학적 사유가 느껴지는 사진들을 주로 선보이는 중견 사진작가 양성철 씨 등도 참여한다.

 

● 공연기획자 등 광주지역 작가 눈길

광주지역 작가로는 공연 기획자 임인자 씨를 비롯해 놀이패 신명, 극단 토박이가 협업으로 참여한다.

1982년 창단된 놀이패 신명은 마당극 창작 및 공연 활동을 하는 전문 예술 단체로 전통 연희 양식을 계승하고 재창조하면서 지역 문화유산을 재발견하고 있는 공연단체이다. 1989년 창단된 극단 토박이는 ‘금희의 오월’, ‘모란꽃’, ‘청실홍실’ 등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극으로 잘 알려져 있는 극단이다.

이와 함께 높은 경쟁률을 뚫고 ‘2014 광주비엔날레 포트폴리오 공모’ 작가로 선정된 최운영 작가와 박세희 작가도 눈여겨 볼 만 하다.

최운형 작가는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학사와 예일대학교 석사를 마치고 현재 홍익대학교 박사과정에 있다. 4차례 개인전을 광주와 서울에서 가졌으며, 뉴욕 등지에서 11차례 단체전에 참여했다. 단편영화 <레 D 액 tion> 미술감독 등의 이력을 지녔다.

박세희 작가는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를 전공하고 런던예술종합대학교에서 사진을 공부했다. 광주와 뉴욕에서 2차례 개인전을 가졌으며, 21차례 단체전에 참여했다. 광주시립미술관 양산동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등으로 활동한 바 있다. 어린 시절 여러 곳을 이주하며 살아왔던 기억을 통해 ‘이주’에 관심을 갖게 된 박세희 작가의 영상작품 ‘상실의 풍경’은 이동을 경험하며 만났던 장소들을 재현해 불태우고 그 과정을 사진으로 찍은 것으로 올해 주제를 잘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