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아시아 최대 미술축제 제11회 광주비엔날레 66일 대장정

홍보대사 현빈 위촉식·눈 예술상 시상식 눈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전위적인 현대미술 축제인 2016광주비엔날레가 66일 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37개국 101작가(120)가 참여해 252점을 선보이는 2016광주비엔날레는 8기후대(예술은 무엇을 하는가?)’(THE EIGHTH CLIMATE(WHAT DOES ART DO?))’라는 주제가 지닌 실험성과 사회성을 담보로 국제 미술계에 새로운 미학적 방법과 동시대 현상에 대한 담론을 던지고 있다. 91광주비엔날레 앞 광장에서 열리는 개막식에는 유명 미술계 인사들과 스타 작가들이 대거 참석하면서 아시아 최대이자 세계 5대 비엔날레로 자리매김한 광주비엔날레의 축제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올해 광주비엔날레는 시민과의 소통을 위한 오프닝 퍼포먼스와 2016 광주비엔날레 포럼, 시민 참여 프로그램,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및 기념전, 포트폴리오 리뷰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행사들이 동시에 펼쳐지면서 고품격 현대미술 전시와 시민 사회의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문화수도 광주가 연출된다.

()광주비엔날레(대표이사 박양우)2016광주비엔날레의 66일 항해를 알리는 개막식을 91일 오후 640분부터 9시까지 비엔날레 앞 광장에서 개최한다.

식전 행사, 공식 행사, 이벤트로 나뉘는 개막식의 총감독은 2011년 광주평화연극제에서 망각을 연출해 수상한 반무섭 씨가 맡았다. 식전 공연(18:40~19:10)으로 도깨비불을 응용한 타악 연주가 선보이며 2016광주비엔날레 홍보 영상 및 올해 주제에서 드러나는 만화경적인 예술세계를 담은 인트로 영상(19:10~10:13)이 상영된다.

공식행사(19:13~20:15)는 박양우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의 개막 선언에 이어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의 환영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축사, 현빈 홍보대사 위촉식 순으로 진행되며 이어 마리아 린드 2016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이 전시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다.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은 환영사에서 “1995년 창설되어 단 시간에 세계적인 미술축제로 자리매김한 광주비엔날레가 올해로 11회를 맞이했다광주비엔날레 창설 선언문에도 나와 있듯 민주·인권·평화정신을 세계에 발신하면서 세계인과 문화예술로 소통하길 바란다고 말할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이날 광주가 아시아문화중심도시로서 입지를 구축할 수 있었던 데는 광주만의 차별화된 문화적 자산인 광주비엔날레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대한민국 대표 문화 브랜드인 광주비엔날레의 성공 개최를 기원한다고 말할 예정이다.

이날 광주비엔날레의 창설 정신과 가치에 맞닿아 있으면서 실험정신이 뛰어난 작품을 출품한 작가에게 수여하는 상인 (Noon) 예술상시상식이 열려 국제 미술계의 관심도 집중되고 있다. 예술에 대한 단상들을 관객들과 함께 즐기고 의미를 공유하는 퍼포먼스인 주제 공연은 15분 가량 펼쳐지면서 개막식의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빛의 퍼포먼스인 개관 이벤트(20:15~20:20)는 전시관 입구에서 시민들에게 LED 풍선을 나눠주고 하늘로 날려 보내면서 광주비엔날레의 항해를 알릴 예정이다.

이날 개막식에는 국내외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다. 캐롤린 크리스토프-바가이예프(Carolyn Christov-Bakargiev) 13회 카셀 도쿠멘타 예술감독, 샐리 탈란트(Sally Tallant) 리버풀 비엔날레 대표, 바르토메우 마리(Bartomeu Mari)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멜리사 추(MelissaChiu) 허쉬혼 미술관 관장, 마미 카타오카(Mami Kataoka) 모리미술관 수석큐레이터이자 2012광주비엔날레 공동감독 등 해외 유명 미술계 관계자들이 광주를 대거 방문한다. 2011베니스비엔날레 스페인관 참여작가이자 2010상파울로비엔날레 참여작가인 도라 가르시아(Dora Garcia), 세계적인 예술 매체인 이플럭스 대표 안톤 비도클(Anton Vidokle), 2003베니스비엔날레와 2012카셀도큐멘타 참여작가 왈리드 라드(Walid Raad), 2010베니스건축비엔날레 참여작가이자 독일의 대표적 작가인 미하엘 보이틀러(Michael Beutler), 2003베니스비엔날레 및 2012카셀도큐멘타 참여작가 나타샤 사드르 하기기안(Natascha Sadr Haghighian) 등 유명작가들의 광주행도 이어졌다.

해외 유명 언론도 대거 참석하면서 2016광주비엔날레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미국의 대표 예술지인 아트 인 아메리카(Art in America), 아트 아젠다(Art Agenda), 아트 포럼(Art Forum)을 비롯해 온라인 매체인 이플럭스(E-Flux), 아트넷(Artnet), 영국의 미술 전문지 프리즈(Frieze), 독일의 유력 일간지(Frankfurt Algemeine Zeitung) 등 세계 20여개 매체에서 취재 차 광주를 방문한다. 또한 광주비엔날레 기간인 91일 아트바젤 홍콩과 홍콩예술위원회 등의 국제기관에서 유명 미술계 인사들이 모이는 광주비엔날레 개막 특수를 누리기 위해 홍보설명회를 개최해 눈길을 끈다.

이와 함께 광주비엔날레와 연계한 다양한 현대미술 전시와 다학제적 포럼이 펼쳐지면서 미술의 도시이자 문화수도인 광주의 면모를 확인케한다.

()광주비엔날레는 올해 행사의 일환인 ‘2016 광주비엔날레 포럼’(2016 Gwangju Biennale Forum)크고 작은 모두의 힘으로’(To All the Contributing Factors)를 주제로 92일부터 4일까지 광주비엔날레 거시기홀 및 광주시내 일원에서 개최한다. 2016 광주비엔날레 포럼은 첫 날인 92일 오후 5시 마리아 린드(Maria Lind)예술감독의 개회에 이어 박양우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와 바르토메우 마리(Bartomeu Mari) 국립현대미술관장의 환영사로 막이 오른다. 사회는 최빛나 큐레이터가, 전체적인 토론의 모더레이터는 올해 참여작가인 모함마드 살레미(Mohammad Salemy)가 맡았다. ‘채식주의자로 맨부커상을 수상한 소설가 한강의 소설 낭독에 이어 마이너리티 코뮌저자 신지영 씨, 중국 비타민 크리에이티브 스페이스 공동 대표 후팡(Hu Fang)과 페르난도 가르시아-도리(Fernando Garcia-Dory) 참여작가, 스웨덴 고텐버그 대학 예술학과 교수 안드레아 필립스(Andrea Philips)가 발제에 참여한다. 이튿날인 93일과 4일 마지막 날에도 ‘2016 광주비엔날레 포럼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됐다.

광주 전역 곳곳에서도 현대미술 축제의 향연이 펼쳐진다. 광주·전남 지역작가 발굴 및 창작 지원을 위한 ‘2016광주비엔날레 포트폴리오 리뷰프로그램을 통해 선정된 젊은 작가 9명을 위한 전시가 91일부터 1031일까지 무각사 문화관에서 마련된다. ()광주비엔날레가 후원하고 광주미협이 주관하는 광주비엔날레 특별전824일부터 116일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리며, ()광주비엔날레가 후원하고 광주시립미술관이 주관하는 또 다른 광주비엔날레 특별전인 2016광주비엔날레 기념 한국 대만 현대미술전이 823일부터 1113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열린다. ()광주비엔날레가 광주·전남 사립 갤러리 및 문화예술기관 10곳을 선정해 후원하는 광주비엔날레 기념전도 비엔날레 기간 동안 열린다. 이와 함께 시민참여프로그램 나도! 아티스트 : Healing Heart(힐링아트)’가 양림동, 원당산 공원, 충장로 등 광주 시내 곳곳에서 830일 개막하면서 116일까지 25개팀 415명이 참여한 가운데 펼쳐진다. ()광주비엔날레는 매 대회마다 문화예술의 나눔을 실천하고 시민들의 문화예술 저변 확대를 위해 시민참여프로그램 나도! 아티스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GKL(Grand Korea Leisure)사회공헌재단의 후원을 받아 취지를 더했다.

2016광주비엔날레 프레스오픈 관련 모든 보도자료 및 이미지 등은 광주비엔날레 웹하드( http://www.webhard.co.kr) 내리기 전용 폴더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아이디 : biennalepress / 비번 : press / (문의) 홍보마케팅부 조사라 / (062)608-4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