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제12회 광주비엔날레 기본구상안

제12회-광주비엔날레-기본구상안-발표-보도자료 텍스트 이미지


2018 광주비엔날레는 다수의 큐레이터제를 도입해 광주의 역사성과 공간성에 주목하는 전시로 차별성을 높인다. 이전의 단일감독체제 대신 광주비엔날레의 23년 역량을 응집하여 다수 큐레이터들과의 협업을 통해 개최지 광주를 새롭게 조명함과 동시에 동시대 인류의 과거와 현재를 반성하고 미래 대응책을 모색하는 다층적인 전시로 풀어낼 계획이다.

()광주비엔날레는 11일 단일감독제에 변화를 주어 재단이 총괄하여 전시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대표이사가 총괄 큐레이터를 겸임하는 다수 큐레이터제를 시도하고 광주라는 장소 특정성에 주목하는 제 12회 광주비엔날레 기본 구상안을 발표했다. 재단의 대표이사가 총괄 큐레이터를 맡게 된 배경은 대표이사의 공석이 6개월 간 이어지면서 예술총감독 선정이 늦어짐에 따라 전시 진행의 효율성과 일정 추진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서다. 이와 함께 그동안 총감독제 전시기획 대신 23년 간 축적된 광주비엔날레재단의 담론과 현장 중심의 기획 노하우를 바탕으로 광주 역사성과 지역성을 효과적으로 풀어내면서 추후 지역 사회에 문화적 자산을 남기기 위한 취지이다.

지역 사회와 보다 매개하기 위해 재단 주도로 전시 기획 및 구현의 과정들이 총괄되며, 다수 큐레이터들의 기획 과정과 현장 중심 협업을 통해 비엔날레 문화에 새로운 에너지를 불어넣으면서 개최지의 장소성과 역사성에 주목하고 다채로운 아이디어와 담론을 시각예술 매체로 구현해 나갈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광주비엔날레 창설 배경이자 세계 민주?인권?평화의 정신이 함축된 광주의 역사적인 공공장소를 발굴하여 전시공간으로 연결할 계획이다.

이에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인한 도시의 역사적 경험을 문화예술로 승화하기 위해 태동해 국내 현대미술의 발신지로 23년 간 764만 명의 관람객과 1,414명의 작가가 참여했던 용봉동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의 상징성이 주목받으면서 차기 행사에서도 주요 전시관으로 이어진다. 이와 함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시립미술관 등과 광주의 역사적 장소들이 전시공간으로 연결되면서 광주의 도시 문화와 관광과의 연계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비엔날레재단은 내부 연구와 2차례의 예술소위원회 논의 과정을 거쳐 설정한 주제어 상상된 경계들’(Imagined Borders)을 이사회에 상정하여 의결하였다.

베네딕트 앤더슨(Benedict Anderson)의 민족주의에 대한 저서인 상상의 공동체에서 차용된 상상된 경계들’(Imagined Borders)은 세계화 이후 민족적?지정학적 경계가 재편되고 있는 동시대 현상을 다룬다. 지정학적 경계를 넘어 정치, 경제, 심리, 감정, 세대 간의 경계와 경계 없음, 경계 안, 경계 사이 등을 다각적인 시각에서 조망할 계획이다. 특히 오늘날 심화되고 있는 국가?세대?민족 간의 이분법적 경계를 넘어 복잡해지고 눈에 보이지 않게 굳건해지고 있는 경계들에 대한 재사유가 필요한 시점이라 이번 주제어는 시의적절한 지구촌 공동체의 아젠다라 할 수 있다.

지난 7일 열린 제 156차 이사회에서 심의안건으로 제 12회 광주비엔날레 기본구상()과 함께 ()광주비엔날레 이사 선임()이 의결됐다. 이에 따라 김영나 서울대 명예교수, 바르토메우 마리 국립현대미술관장, 이화익 한국화랑협회 회장이 신임 이사로 선임됐다.

한편 광주비엔날레재단은 전시 연계 교육 프로그램으로 월례회, 스쿨 프로그램, 시민 대상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과정과 현장 중심으로 지역과 밀착하기 위한 상시 프로그램인 광주비엔날레 월례회 ‘GB토크’, ‘GB작가 스튜디오 탐방등을 새롭게 기획해 진행하고 있다. 이는 2016광주비엔날레 행사의 일환인 지역 밀착형 프로그램 월례회를 꾸준히 이어가자는 취지로 대중과 소통하는 시각예술과 철학, 정치, 역사, 과학의 경계를 허무는 다학제적 장인 ‘GB토크와 지역 작가들과 만나고 교류하는 ‘GB작가 스튜디오 탐방으로 구성됐다. 지난 881‘GB작가 스튜디오 탐방’, 91일 광주비엔날레 월례회 ‘GB토크등을 개최하면서 꾸준히 지역 사회와 교감하고 있으며 이는 내년 행사까지 매달 진행된다.


(문의) 홍보마케팅부 (062)608-4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