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자료
자료실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아트숍 ‘인기’
(재)광주비엔날레, 또 다른 문화체험의 장 아트숍 G# 운영
자체 제작 아트상품 포함 300여 종 및 역대 도록 등 판매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과 연계되어 기획된 광주비엔날레 아트숍 G#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재)광주비엔날레(대표이사 박양우)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와 함께 선보이고 있는 아트숍 G#이 또 다른 전시 체험의 장으로서 호응을 얻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광주비엔날레가 지향해온 다양한 동시대 미술 담론의 장처럼 통합 브랜딩 공간을 목표로 개막에 맞춰 문을 연 광주비엔날레 아트숍인 ‘G#’은 광주비엔날레의 ‘G’와 확장 가능한 프레임이자 Shop을 의미하는 ‘#’을 조합하여 나왔다. ‘#’은 광주비엔날레가 정의하는 Shop의 새로운 시각이자, 확장과 변용, 재결합이 가능한 유닛을 상징한다.
즉 광주비엔날레 아트숍 G#은 전시 관람의 여운과 감흥을 증폭시키고, 또 다른 전시 경험과 체험을 창출하는데 가치를 두고 있다.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야외 광장에 독창적인 디자인의 컨테이너로 마련된 G#은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전시를 기념할 수 있는 상품부터 체험 상품까지 다양한 구색으로 꾸며졌다.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시각이미지(EIP, Event Identity Program) 활용 자체 제작 상품은 물론 G#에서만 만날 수 있는 다양한 브랜드와의 협업 제품까지 총 300여 종을 선보인다. 특히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시각이미지 활용 티셔츠 체험존도 인기를 끌고 있다. 기본 티셔츠나 후드티 등의 상의를 선택해 원하는 위치에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시각이미지 요소가 새겨진 전사지를 배치해 열 프레스기로 찍어내면 내가 디자인한 단 하나 뿐인 옷을 즉석에서 제작할 수 있다.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주제로 디자인된 신문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부스도 마련되어 있다. 즉석 신문 사진 결과물을 들고 광주비엔날레 아트숍의 상징색인 빨간색 벽면을 배경으로 촬영하는 인증샷도 이용객들 사이에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아트숍에 방문한 인플루언서들이 자발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해 온라인 채널에 올리는 등 입소문을 타면서 MZ세대들의 전시 관람 이후 방문 코스로 자리 잡았다. 이밖에도 광주비엔날레가 발간한 출판물을 한자리에서 살펴보고 구매할 수 있다. 광주비엔날레 역대 도록과 동시대 미술의 주요 쟁점과 미학적 담론을 다루고자 발간한 정론지 <눈(noon)> 1호부터 7호까지 전권을 판매하고 있다.
광주비엔날레 아트숍 G#은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전시 관람시간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문의) 홍보마케팅부 (062)608-4224.